미국 코로나 관련주 TOP5|급등주 및 전망 총정리

미국 코로나 관련주 TOP5, Hush

FDA 정책 변화로 백신 주식 상승

2025년 5월 20일, 식품의약국(FDA)은 향후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고령자(65세 이상)와 중증 질환 위험이 있는 사람들로 제한하는 새로운 기준을 발표했습니다. 이전의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백신 접종 전략에서 벗어난 이러한 정책 변화로 백신 제조업체 주식이 눈에 띄게 상승했습니다. 모더나는 주가가 6% 이상 상승하여 28.06달러에 도달했고, 바이오엔테크는 2% 상승하여 10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화이자도 1.6% 상승하여 23.36달러로 혜택을 받았지만, 노바백스는 7.73달러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 발견으로 거래 활동 증가

2025년 2월,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의 중국 연구진이 동물에서 인간으로 전염 가능성이 있는 "HKU5-CoV-2"라는 새로운 박쥐 코로나바이러스를 발견했다는 보고가 나왔습니다. 이 뉴스는 한국과 미국 시장 모두에서 코로나19 관련 주식의 상승을 촉발했습니다. 월스트리트에서 모더나는 5.34% 상승했고, 화이자는 1.54% 상승했으며, 노바백스는 0.88% 상승했습니다. 한국 제약회사들도 상당한 상승을 보였는데, 진원생명과학이 16.14% 급등했고 SD바이오센서 등 다른 코로나 관련 주식들도 6.98% 상승했습니다.

제약 부문 회복

제약 부문은 광범위한 시장 압박에도 불구하고 회복력을 보여주었습니다. 2025년 5월, 처방약 가격 인하를 목표로 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에 대한 초기 우려 이후 의약품 주식이 반등했습니다. 애브비, 일라이 릴리, 암젠, 화이자, 머크 등 주요 제약회사들은 분석가들이 행정명령이 상당한 법적 도전과 시행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라고 제시하면서 주가가 2.1%에서 4.8% 사이로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발전은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주식이 규제 변화와 새로운 보건 위협 모두에 계속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투자자들이 진행 중인 팬데믹 대응과 미래 대비 노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정책 변화와 과학적 발전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기업명 코로나 관련주 선정 이유
Pfizer - BioNTech와 협력, mRNA 기술 기반 코로나19 백신 최초 FDA 승인 및 제조
- 코로나19 경구 치료제 팍스로비드 개발
- 코로나19 제품으로 막대한 수익 창출
Moderna -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스파이크백스) 개발 및 신속 배포
- mRNA 기술 플랫폼으로 변이 맞춤형 백신 신속 개발
- 글로벌 팬데믹 대응의 핵심 역할 수행
Tonix Pharmaceuticals Holding Corp. - 코로나19 치료/예방용 단일클론항체, 진단용 피부 테스트, 백신 후보물질 등 포괄적 R&D 포트폴리오 보유
- 여러 세대의 항-SARS-CoV-2 단일클론항체 라이선스 확보
- 롱코비드 치료제(TNX-102 SL) 연구
Forte Biosciences, Inc. - 면역 체계 조절 및 자가면역 질환에 중점
- 주요 후보물질(FB-102)이 코로나19 관련 면역 합병증 치료에 잠재적 연관성
- 팬데믹 기간 면역 조절 치료법에 대한 투자자 관심 증가
InspireMD Inc. - 팬데믹으로 인한 병원의 선택적 수술 연기/취소로 의료기기 판매에 직접적 영향
- 의료 서비스 중단 및 팬데믹의 사회경제적 영향으로 사업 운영에 어려움

1. Pfizer (NYSE: PFE)

1.1. 왜 코로나바이러스 관련주로 선정되었는가?

화이자는 독일의 바이오엔테크(BioNTech)와 손잡고 메신저 RNA(mRNA) 기술을 활용한 코로나19 백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FDA 승인까지 받아내면서, 단숨에 가장 주목받는 코로나바이러스 관련주로 떠올랐습니다. 팬데믹 상황에 발 빠르게 대처하여 기록적인 시간 안에 백신 개발부터 긴급 사용 승인까지 이끌어냈고, 이를 통해 전 세계 코로나19 대응의 선두에 서게 되었습니다. 백신뿐만 아니라, 먹는 치료제인 팍스로비드(Paxlovid)까지 개발하며 팬데믹 극복을 위한 탄탄한 제품군을 갖추었습니다. 이러한 코로나19 관련 제품들로 2022년에만 560억 달러가 넘는 엄청난 수익을 올렸고, 이는 팬데믹 기간 동안 화이자의 재정 상태와 시장에서의 위상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1.2. 회사 개요

화이자(Pfizer Inc.)는 1849년에 설립되어 뉴욕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바이오 제약 대기업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약 8만 1천 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200개가 넘는 국가 및 지역에서 사업을 펼치고 있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제약사입니다. 화이자는 과학 기술과 글로벌 자원을 활용하여 인류의 수명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치료법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의료 제품의 발견, 개발, 제조 과정에서 품질, 안전, 가치를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지난 170여 년간 전 세계 환자, 의료 전문가, 지역 사회에 기여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1.3. 주요 사업

화이자는 주로 글로벌 바이오제약 사업(Biopharma) 부문을 통해 운영되며, 이 부문은 크게 세 가지 핵심 치료 영역으로 나뉩니다.

  • 1차 의료(Primary Care): 내과 질환 및 백신 포트폴리오를 포함하며, 심혈관 질환, 편두통, 여성 건강, 감염병 등을 다룹니다. 이 분야의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프리베나(Prevnar) 백신 시리즈와 다양한 예방 관리 솔루션이 있습니다.
  • 전문 의료(Specialty Care): 염증, 면역학, 병원 내 치료, 희귀 질환 분야에 집중합니다. 만성 면역 및 염증 질환, 아밀로이드증, 혈우병, 내분비 질환 등을 위한 치료제를 개발하며, 멸균 주사제와 항감염제도 이 분야에 속합니다.
  • 종양학(Oncology): 유방암, 전립선암, 폐암, 대장암, 난소암, 신장암, 혈액암 등 다양한 암을 위한 혁신적인 항암제를 개발하며, 회사 성장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화이자는 위탁생산(CMO) 사업인 화이자 센터원(Pfizer CentreOne)과 사업 혁신 및 새로운 기회 발굴에 주력하는 화이자 이그나이트(Pfizer Ignite)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1.4. 재무 정보

구분 (백만 달러) 2021 2022 2023 2024
매출액 81,288 101,175 59,553 63,627
영업이익 19,433 35,789 1,279 12,411
당기순이익 21,979 31,372 2,119 8,031

2025년 예상 매출은 610억 달러에서 640억 달러 사이로 제시했으며, 조정 희석 주당 순이익은 2.80달러에서 3.00달러 범위로 예상되어 중간값 기준으로 약 12% 성장을 목표하고 있습니다. 현재 7.38%의 매력적인 배당수익률을 제공하고 있고, 무려 55년 연속 배당금을 지급해오고 있습니다.

화이자는 지속적인 비용 절감 프로그램을 통해 2024년까지 40억 달러의 순비용을 절감했으며, 2025년에는 추가로 5억 달러를 절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시가총액은 약 1,326억 달러로 탄탄한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1.5. 시장 지위

화이자는 매출 기준으로 머크앤컴퍼니(Merck & Co.)에 이어 글로벌 제약회사 중 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정점 이후 관련 제품 수요가 크게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통해 뛰어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요 수익원으로는 항응고제 엘리퀴스(Eliquis)가 74억 달러, 프리베나 백신 제품군이 64억 달러, 빈다켈(Vyndaqel) 제품군이 55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전 세계 37곳의 제조 시설을 운영 중이며, 200곳 이상의 글로벌 공급업체와 협력하여 업계 최고 수준의 정교한 공급망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와 제조 역량은 화이자를 제약 개발 및 유통 분야의 선두 주자로 만들었습니다.

1.6. 주요 파트너 및 고객

화이자는 제약 산업 생태계 전반에 걸쳐 다양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가장 주목할 만한 협력 관계는 코로나19 백신 및 기타 mRNA 기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바이오엔테크(BioNTech SE)와의 파트너십입니다. 또한, 항응고제 엘리퀴스 관련해서는 브리스톨 마이어스 스퀴브(Bristol-Myers Squibb), 다양한 항암제 분야에서는 아스텔라스 제약(Astellas Pharma), 여성 건강 치료제 분야에서는 마이오반트 사이언스(Myovant Sciences)와 중요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머크 KGaA(Merck KGaA), 발네바 SE(Valneva SE), 악시아 테라퓨틱스(Akcea Therapeutics), 아르비나스(Arvinas Inc.) 등과도 주요 협력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화이자는 전 세계의 도매업체, 소매업체, 병원, 클리닉, 정부 기관, 약국, 개인 의료 전문가, 질병 통제 센터 등 다양한 고객층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1.7.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2025년 4월 기준, 화이자의 연구개발(R&D) 파이프라인에는 108개의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특히 혁신 기술과 새로운 치료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엔테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mRNA 기술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현재 등록 단계에 있는 백신 11개 중 8개가 mRNA 기반입니다.

주요 파이프라인 중 하나는 암 환자의 악액질(몸이 극도로 쇠약해지는 상태) 치료를 위한 GDF-15 억제제 폰세그로맙(ponsegromab)으로, 아직 미개척 시장에서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VEGFxPD-1 이중특이항체인 SSGJ-707을 선급금 12억 5천만 달러와 향후 최대 50억 달러의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 지급 조건으로 기술 도입했습니다.

또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인플루엔자, 라임병, 수막구균성 질환,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 감염증 백신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운영 센터와 증강현실(AR) 기술 도입 등 디지털 전환 노력은 제조 및 연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1.8. 미래 전망

화이자의 미래는 코로나19 관련 수익 의존도에서 벗어나,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와 신약 개발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는 데 달려 있습니다. 주요 제품인 엘리퀴스(2026년)와 입랜스(Ibrance, 2027년)의 특허 만료가 다가오고 있어, 새로운 파이프라인 약물의 성공적인 시장 출시가 매우 중요합니다.

회사의 전략적 목표는 R&D 생산성 극대화, 시젠(Seagen) 인수를 통한 항암제 분야 역량 강화, 백신 개발 프로그램 확대 등입니다. 뉴욕주 펄 리버에 4억 7천만 달러를 투자하여 백신 R&D 시설을 확장하는 계획은 예방 의학 분야에서 지속적인 혁신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줍니다.

2025년까지 45억 달러의 순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는 비용 최적화 노력과 제조 공정 최적화는 매출 총이익과 운영 효율성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탄탄한 재무 상태, 강력한 신약 파이프라인, 글로벌 인프라는 장기 성장의 든든한 기반이지만, 성공 여부는 전략적 우선순위의 효과적인 실행과 치열한 제약 시장 경쟁 환경을 어떻게 헤쳐나가느냐에 달려 있을 것입니다.


2. Moderna (NASDAQ: MRNA)

2.1. 왜 코로나바이러스 관련주로 선정되었는가?

모더나는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의 혁신적인 개발 덕분에 가장 주목받는 코로나바이러스 관련주 중 하나로 급부상했습니다. 이 회사는 '스파이크백스(Spikevax)'로 알려진, 효과적인 초기 코로나19 백신 중 하나를 시장에 선보이며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여러 지역에서 광범위한 승인과 허가를 받아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팬데믹 이전까지 단 하나의 제품도 상용화하지 못했던 모더나가 이처럼 신속하게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한 것은 생명공학 역사상 이례적인 성과로 평가받습니다.

회사의 메신저 RNA 기술 플랫폼은 팬데믹 상황에 특히 적합하다는 것이 증명되었고, 이를 통해 모더나는 빠른 시간 내에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맞춤형 백신을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능력 덕분에 모더나는 전 세계 팬데믹 대응 노력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모더나의 백신은 코로나19와 싸우는 전 세계의 주요 무기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2.2. 회사 개요

모더나(Moderna, Inc.)는 2010년에 설립된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 본사를 둔 제약 및 생명공학 기업입니다. 회사 이름은 "modified(변형된)", "RNA", "modern(현대의)"이라는 단어를 조합하여 만든 것으로, 혁신적인 메신저 RNA 치료제 개발에 대한 회사의 집중을 잘 보여줍니다. 설립 이후 모더나는 연구 중심 기업에서 벗어나, 7가지 서로 다른 방식(모달리티)에 걸쳐 백신과 치료제를 아우르는 다양한 임상 포트폴리오를 갖춘 선도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2018년 12월, 모더나는 생명공학 역사상 최대 규모의 기업공개(IPO)를 통해 6억 2,100만 달러를 조달하며 성공적으로 상장했습니다.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로부터 8년 연속 최고의 바이오제약 기업으로 선정되었으며, 바이오스페이스(BioSpace)의 '바이오파마 최고의 직장' 보고서에서는 대기업 부문 1위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

2.3. 주요 사업

모더나는 마치 "생명의 운영 체제를 해킹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종류의 의약품인 혁신적인 mRNA 기술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업을 운영합니다. 회사의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호흡기 백신: 모더나의 가장 대표적인 분야로, 상용화된 코로나19 백신 스파이크백스(Spikevax)와 RSV 백신 엠레스비아(mRESVIA)가 여기에 속합니다. 또한 차세대 코로나 백신, 독감 백신, 그리고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를 동시에 예방하는 혼합 백신 개발도 진행 중입니다.
  • 치료제 부문: mRNA 기술을 활용하여 심혈관 질환, 희귀 유전 질환, 백신 외의 감염병, 자가면역 질환 등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종양학: 특정 종양의 특성을 표적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암 백신을 포함하여 암 백신 및 면역 치료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희귀 질환: 결함이 있는 유전자를 교정하거나 보완하는 방식으로 유전 질환에 대한 표적 mRNA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4. 재무 정보

구분 (백만 달러) 2021 2022 2023 2024
매출액 18,471 19,263 6,848 3,236
영업이익 13,296 9,420 –4,239 –3,945
당기순이익 12,202 8,362 –4,714 –3,561

2024년 연간 총매출은 32억 달러, 순손실은 36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2년 180억 달러, 2023년 67억 달러의 매출을 올렸던 팬데믹 기간의 정점 실적에 비해 크게 줄어든 수치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더나는 2024년 12월 기준 95억 달러의 탄탄한 현금 보유고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5년 예상 매출은 15억 달러에서 25억 달러 사이로 전망되며, 호흡기 백신 수요의 계절적 특성상 대부분의 매출은 하반기에 집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모더나는 강력한 비용 절감 조치를 시행하여 2024년에 비용을 27% 줄였으며, 2025년 말까지 약 10억 달러의 비용을 추가로 절감할 계획입니다.

2.5. 시장 지위

모더나는 혁신적인 mRNA 기술 분야의 선구자로서 이 분야에서 강력한 리더십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 17개국에서 사업을 운영 중이며, 48개의 mRNA 프로그램을 개발 중이고 그중 38개는 활발한 임상 시험 단계에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시장에서 모더나의 미국 시장 점유율은 다른 백신 제조사들과의 경쟁 심화로 2023년 48%에서 2024년 말 40%로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회사의 기술 플랫폼과 신속한 개발 능력은 여전히 시장에서 차별화되는 강점입니다.

모더나의 경쟁 우위는 독자적인 mRNA 플랫폼, 여러 치료 분야에 걸친 다양한 파이프라인, 새로운 보건 위협에 대한 신속한 대응 능력, 그리고 강력한 지식재산권 포트폴리오에 있습니다. 모더나는 새로운 바이러스 변이에 빠르게 적응하고 신속하게 맞춤형 백신을 개발하는 능력을 입증해 왔습니다.

2.6. 주요 파트너 및 고객

모더나는 선도적인 제약 회사, 정부 기관, 재단, 연구 기관들과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해 왔습니다. 주요 파트너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제약 파트너: 아스트라제네카(2013년부터 심혈관 질환 및 암 치료제), 머크(2015년부터 바이러스 감염 및 암 치료제), 버텍스 파마슈티컬스(낭포성 섬유증 치료제)
  • 정부 협력기관: 미국 생물의학첨단연구개발국(BARDA)으로부터 지카 바이러스 백신 개발을 위해 최대 1억 2,500만 달러 지원,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으로부터 백신 및 항체 프로그램에 약 2,500만 달러 지원
  • 재단 파트너: 빌 앤 멜린다 게이츠 재단으로부터 감염병 중심의 글로벌 보건 프로젝트를 위해 최소 2,000만 달러의 연구비 지원 약속
  • 학술 기관: 카롤린스카 연구소, 카롤린스카 대학 병원, 파스퇴르 연구소와 전임상 및 임상 연구 프로그램 협력

2.7.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모더나의 파이프라인은 다양한 치료 분야에 걸쳐 40개 이상의 mRNA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개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차세대 백신: 차세대 코로나 백신(mRNA-1283), 18-59세 고위험 성인 대상 RSV 백신, 독감/코로나 혼합 백신(mRNA-1083) 등 3가지 시험용 mRNA 제품에 대한 규제 승인을 신청했습니다.
  • 암 치료제: 특정 종양 특성을 표적으로 하는 개인 맞춤형 백신과 기존 암 치료법과의 병용 요법을 포함한 다수의 암 백신 후보물질을 개발 중입니다.
  • 감염병 포트폴리오: 코로나19 외에도 인플루엔자, HIV,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니파 바이러스, 치쿤구니야 등 기타 감염병에 대한 백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희귀 질환 치료제: 근본적인 유전적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mRNA 기술을 활용한 유전 질환 표적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2.8. 미래 전망

모더나의 미래 전략은 세 가지 핵심 우선순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매출 성장 촉진, 향후 3년 내 최대 10개 제품 승인 달성, 운영 비용 절감. 회사는 차세대 코로나 백신, 젊은 성인용 RSV 백신, 독감/코로나 혼합 백신 등의 잠재적 승인을 포함하여 2025년부터 여러 규제 승인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장기적인 비전은 코로나19를 훨씬 뛰어넘어, 수백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흔한 질병부터 소수의 환자에게만 영향을 미치는 희귀 질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학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플랫폼으로서 mRNA 기술을 자리매김하는 것입니다. 모더나는 자사의 기술이 개인 맞춤형 의료 접근 방식과 새롭게 등장하는 건강 위협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코로나19 백신 수요가 정상화되면서 현재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모더나의 혁신적인 플랫폼 기술, 탄탄한 파이프라인, 그리고 새로운 백신을 신속하게 개발하고 보급하는 입증된 능력은 미래 성장을 위한 좋은 발판이 되고 있습니다. 연구 개발 투자를 유지하면서 비용 효율성에 중점을 두는 것은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과 mRNA 치료제 분야에서의 지속적인 혁신에 대한 회사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3. Tonix Pharmaceuticals Holding Corp. (NASDAQ: TNXP)

3.1. 왜 코로나바이러스 관련주로 선정되었는가?

토닉스 파마슈티컬스는 다양한 치료 방식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코로나19 연구개발 포트폴리오 덕분에 코로나바이러스 관련주로 주목받았습니다. 이 회사는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단일클론항체, SARS-CoV-2 노출 및 T세포 면역 반응을 측정하는 진단용 피부 테스트, 그리고 백신 후보물질 등 여러 코로나19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특히, 토닉스는 큐리아 글로벌(Curia Global) 및 컬럼비아 대학교로부터 여러 세대의 항-SARS-CoV-2 단일클론항체 기술을 도입하여, 끊임없이 변화하는 바이러스와 그 변이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TNX-102 SL을 이용한 롱코비드(Long COVID) 치료 연구는 팬데믹이 남긴 장기적인 건강 문제 해결에 대한 회사의 의지를 보여주며,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3.2. 회사 개요

토닉스 파마슈티컬스 홀딩 코퍼레이션(Tonix Pharmaceuticals Holding Corp.)은 뉴저지주 채텀에 본사를 둔, 임상 단계의 모든 과정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바이오제약 회사입니다. 다양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 및 백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11년 역합병을 통해 설립되어 나스닥에 'TNXP'라는 종목 코드로 상장되었으며, 초기에는 기존 약물의 새로운 용도를 찾는 약물 재창출 기업으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시판 중인 제품과 광범위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다각화된 제약 개발사로 성장했습니다. 메릴랜드주 프레더릭에는 감염병 연구 시설을 포함한 최첨단 연구 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승인된 편두통 치료제를 판매하는 상업 자회사 토닉스 메디슨(Tonix Medicines)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3.3. 주요 사업

토닉스는 크게 네 가지 치료 분야에서 사업을 운영합니다: 중추신경계(CNS) 질환, 면역학, 감염병, 그리고 희귀 질환. CNS 포트폴리오는 통증, 신경학적 문제, 정신과적 질환 및 중독 관련 질환에 중점을 두며, 섬유근육통 관리를 위한 TNX-102 SL이 대표적인 후보물질입니다. 면역학 부문은 장기 이식 거부반응, 자가면역 질환, 그리고 암 면역요법 효과 증진을 위한 치료제를 개발합니다. 감염병 포트폴리오는 원숭이두창, 천연두, 코로나19 등 병원성 감염을 대상으로 백신, 항바이러스제, 그리고 다양한 치료법을 연구합니다. 희귀 질환 부문은 프래더-윌리 증후군 치료를 포함하여 미국 내 환자 수가 20만 명 미만인 유전 질환 및 기타 질환들을 다룹니다.

3.4. 재무 정보

구분 (백만 달러) 2021 2022 2023 2024
매출액 0 0 7.77 10.09
영업이익 –92.31 –112.09 –118.38 –136.70
당기순이익 –92.29 –110.22 –116.66 –130.04

2024년 12월 31일 기준, 토닉스는 약 9,880만 달러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도 2,490만 달러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입니다. 2024년 연간 순제품 매출은 1,010만 달러로, 주로 편두통 치료제 젬브레이스 심터치(Zembrace SymTouch)와 토심라(Tosymra) 판매에서 발생했습니다. 2024년 연구개발 비용은 약 4,000만 달러로, 2023년 8,670만 달러에서 감소했는데, 이는 파이프라인 우선순위 조정 노력의 결과로 보입니다. 2024년 순손실은 1억 3,000만 달러였으나, 여기에는 5,890만 달러의 비현금성 자산 손상 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5년 2월 부채를 모두 상환한 후, 토닉스는 무부채 상태가 되었으며, 시장가격 발행제도(at-the-market facility)를 통해 추가 자금을 조달하여 2026년 1분기까지 운영 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5. 시장 지위

토닉스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섬유근육통 치료제 TNX-102 SL의 미국 FDA 판매 허가 여부가 결정되는 2025년 8월 15일(PDUFA 목표일)은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입니다. 만약 승인된다면, 이는 15년 만에 등장하는 새로운 섬유근육통 치료제가 되어 2032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41억 3천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장을 공략할 수 있게 됩니다. 토닉스는 TNX-102 SL에 대해 FDA로부터 패스트트랙(신속 심사) 지정을 받았고, 코카인 중독 치료제 TNX-1300(코카인 에스테라아제)에 대해서는 혁신 치료제 지정을 받아, 규제 당국으로부터 그 혁신성을 인정받았습니다. 다양한 치료 분야에 걸친 토닉스의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는 위험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기존 편두통 제품을 통해 구축된 상업 인프라는 안정적인 수익 창출 기반을 제공합니다.

3.6. 주요 파트너 및 고객

토닉스는 개발 프로그램 전반에 걸쳐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해 왔습니다. 여기에는 광범위한 항바이러스제 개발을 위한 X-Chem과의 인공지능(AI) 기반 신약 발굴 협력, 그리고 토닉스의 항-CD40L 단일클론항체와 유전자 조작 장기를 결합한 이종 장기 이식 연구를 위한 마카나 테라퓨틱스(Makana Therapeutics)와의 협력이 포함됩니다. 또한, 컬럼비아 대학교와는 단일클론항체 개발을 위한 라이선스 계약을 유지하고 있으며, 큐리아 글로벌(Curia Global)로부터는 인간화 항-SARS-CoV-2 단일클론항체에 대한 독점 라이선스를 확보했습니다. 정부 기관과의 파트너십으로는 광범위한 항바이러스제 개발을 위해 5년간 최대 3,400만 달러 규모의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위협감소국(DTRA)과의 중요한 계약이 있으며, 코카인 중독 치료제 개발을 위해 미국 국립약물남용연구소(NIDA)로부터 자금 지원도 받고 있습니다.

3.7.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토닉스의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프로젝트는 코로나19 및 그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한 여러 혁신적인 접근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TNX-2100이라는 진단용 피부 테스트를 개발했는데, 이는 지연형 과민반응을 통해 SARS-CoV-2 바이러스 노출 여부와 T세포 면역 반응 정도를 측정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단일클론항체 포트폴리오에는 컬럼비아 대학교로부터 기술 도입한 TNX-3600(완전 인간 항체) 및 TNX-4100(마우스 항체)뿐만 아니라, 더 광범위한 SARS-CoV-2 변이를 중화하도록 설계된 큐리아 글로벌(Curia Global)의 인간화 마우스 항체도 포함됩니다. 또한, 토닉스는 섬유근육통과 유사한 증상과 코로나19 감염 후 나타나는 후유증(롱코비드) 간의 연관성을 인식하고, 롱코비드 치료를 위한 TNX-102 SL 개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우두 바이러스(horsepox virus) 플랫폼을 활용한 코로나19 예방 백신 개발도 연구했습니다.

3.8. 미래 전망

토닉스의 미래는 몇 가지 중요한 계기와 성장 동력에 달려 있습니다. 가장 가까운 기회는 2025년 8월로 예정된 섬유근육통 치료제 TNX-102 SL의 FDA 승인 여부이며, 이는 회사의 수익 구조와 시장에서의 위상을 크게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회사의 다각화된 파이프라인은 여러 치료 분야에서 성공 가능성을 높여주며, 특히 코카인 중독 치료제 TNX-1300은 혁신 치료제로 지정되어 유망한 후보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광범위한 항바이러스제 개발을 위한 3,400만 달러 규모의 국방부 계약은 회사의 자금 조달 부담을 덜어주는 동시에 감염병 분야에서의 역량을 입증하는 계기가 됩니다. 장기적으로는 마카나(Makana)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이종 장기 이식 분야로의 확장과 차세대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X-Chem과의 AI 협력은 최첨단 신약 개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미 구축된 상업 인프라는 향후 개발되는 제품들을 시장에 성공적으로 출시하는 데 든든한 기반이 될 것입니다.


4. Forte Biosciences, Inc. (NASDAQ: FBRX)

4.1. 왜 코로나바이러스 관련주로 선정되었는가?

포르테 바이오사이언시스가 직접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나 백신 개발에 참여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 회사가 면역 체계 조절 및 자가면역 질환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관련주로 분류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회사의 주요 후보물질인 FB-102는 핵심 면역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항-CD122 단일클론항체로,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면역 관련 합병증 치료에 잠재적으로 연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팬데믹 기간 동안 면역 조절 치료법을 개발하는 기업들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심각한 면역 반응을 관리하는 데 잠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면서, 광범위한 바이오제약 부문이 투자자들의 더 많은 관심을 받기도 했습니다.

4.2. 회사 개요

포르테 바이오사이언시스(Forte Biosciences, Inc.)는 2007년에 설립되어 텍사스주 댈러스에 본사를 둔 임상 단계의 바이오 제약 회사입니다. 이 회사는 특히 면역 조절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에 초점을 맞춰 자가면역 및 자가면역 관련 질환에 대한 혁신적인 치료법 개발을 전문으로 합니다. 포르테는 14명의 직원으로 구성된 효율적인 팀으로 운영되며, 나스닥에서 'FBRX'라는 티커 심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4.3. 주요 사업

포르테 바이오사이언시스는 주로 자가면역 치료제 분야에서 사업을 운영하며, 핵심 사업은 독자적인 항-CD122 단일클론항체인 FB-102 개발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회사가 주목하는 주요 자가면역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대상 질환:

  • 이식편대숙주병 (GvHD)
  • 백반증 및 비분절형 백반증
  • 원형 탈모증
  • 셀리악병

새롭게 주목하는 분야:

  • 제1형 당뇨병
  • 기타 염증성 피부 질환

회사의 치료 접근 방식은 IL-2/IL-15 수용체의 CD122 소단위를 표적으로 삼는 것인데, 이 소단위는 자가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자연살해(NK) 세포와 특정 T 세포 아형의 중요한 조절자 역할을 합니다.

4.4. 재무 정보

구분 (백만 달러) 2021 2022 2023 2024
매출액 0 0 0 0
영업이익 –21 –14 –54 –37
당기순이익 –22 –14 –31 –35

포르테 바이오사이언시스는 최근 자금 조달 활동을 통해 탄탄한 재무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말 기준으로, 회사는 5,840만 달러의 현금, 현금 등가물 및 단기 투자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2024년 11월에는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 속에 5,300만 달러 규모의 사모 발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여 회사의 미래 전망에 대한 시장의 강한 신뢰를 보여주었습니다.

회사는 현재 수익 발생 전 단계로, 이는 신약 개발에 집중하는 임상 단계 바이오 제약 회사들에게는 일반적인 상황입니다.

4.5. 시장 지위

포르테 바이오사이언시스는 자가면역 치료제 시장 내에서도 특화된 틈새시장을 공략하며, 의료적 수요가 충족되지 않은 환자군을 위한 정밀 의료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CD122 길항 작용에 대한 회사의 집중은 경쟁이 치열한 자가면역 치료 분야에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경쟁 우위:

  • 독자적인 항-CD122 단일클론항체 플랫폼 보유
  • 하나의 치료 후보물질로 여러 질환에 적용 가능성
  • 강력한 지식재산권 확보
  • 풍부한 산업 경험을 갖춘 경영진

회사는 상당한 미충족 의료 수요가 있고 환자 수가 많은 질환에 집중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4.6. 주요 파트너 및 고객

포르테 바이오사이언시스는 여러 저명한 헬스케어 전문 기관 투자자들로부터 투자를 유치하여 업계의 강력한 지지를 받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주요 투자자:

  • 오비메드 (OrbiMed)
  • 야누스 헨더슨 인베스터스 (Janus Henderson Investors) (지분 14.39%)
  • 타이본 캐피털 매니지먼트 (Tybourne Capital Management) (지분 9.70%)
  • 프레드 알저 매니지먼트 LLC (Fred Alger Management LLC) (지분 14.24%)
  • 이카리안 캐피털 LLC (Ikarian Capital LLC) (지분 9.53%)
  • BVF 파트너스 LP (BVF Partners LP) (지분 9.30%)

금융 파트너:

  • TD 코웬 (TD Cowen) (주관 주선 기관)
  • 구겐하임 증권 (Guggenheim Securities) (자본 시장 자문)
  • 차단 (Chardan), 로드맨 앤 렌쇼 (Rodman & Renshaw), 브룩라인 캐피털 마켓 (Brookline Capital Markets) (공동 주선 기관)

4.7.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포르테의 핵심 기술 플랫폼은 자가면역 질환에서 면역 반응을 조절하도록 설계된 항-CD122 단일클론항체인 FB-102를 중심으로 합니다. 회사의 연구개발 활동은 다음을 포함합니다.

현재 진행 중인 임상 프로그램:

  • 건강한 자원자 대상 연구 (완료)
  • 셀리악병 임상시험 (진행 중, 2025년 2분기 주요 결과 발표 예상)
  • 비분절형 백반증 연구

기술 플랫폼:

  • IL-2/IL-15 수용체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CD122 길항제 작용 기전
  • 국소 및 전신 투여 제형 개발 가능성
  • 다양한 자가면역 질환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

회사는 포르테 서브시디어리(Forte Subsidiary, Inc.) 및 포르테 바이오사이언시스 오스트레일리아(Forte Biosciences Australia Proprietary Limited)와 같은 자회사를 통해 글로벌 개발 전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4.8. 미래 전망

포르테 바이오사이언시스는 향후 몇 년간 상당한 성장과 중요한 임상적 성과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회사 경영진은 2025년이 FB-102의 임상 개발에 있어 중추적인 한 해가 될 수 있다고 언급했으며, 몇 가지 주요 기대 요인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단기적 기대 요인:

  • 2025년 2분기: 셀리악병 임상시험의 주요 결과 발표
  • 2025년: FB-102의 추가적인 자가면역 질환 적응증 확대
  • 2025년 12월: 상세한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R&D 데이(Day) 개최

장기적 비전: 회사는 정밀 의료 접근법을 통해 자가면역 질환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탄탄한 재정 상태와 유망한 임상 파이프라인을 바탕으로, 포르테는 FB-102를 여러 임상시험 단계로 성공적으로 진전시키고 자가면역 치료제 분야의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략적 기회:

  • 추가적인 자가면역 질환으로의 적응증 확장
  • 글로벌 상용화를 위한 잠재적 파트너십 기회 모색
  • CD122 플랫폼을 활용한 병용 요법 개발
  • 국제 임상시험을 통한 지리적 시장 확장

상당한 미충족 의료 수요가 있는 대규모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는 회사의 집중, 혁신적인 치료 접근 방식, 그리고 강력한 재정적 지원은 포르테 바이오사이언시스가 경쟁이 치열한 바이오 제약 시장에서 장기적인 성공을 거둘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5. InspireMD Inc. (NASDAQ: NSPR)

5.1. 왜 코로나바이러스 관련주로 선정되었는가?

인스파이어MD는 병원들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긴급하지 않은 수술을 연기하거나 취소하면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는 회사의 의료기기 판매에 타격을 주었습니다. 경동맥 스텐트 시술은 종종 선택적 수술로 간주되어 코로나19 확산이 심각했던 시기에 연기되었고, 이로 인해 인스파이어MD와 같은 의료기기 회사들은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이러한 의료 서비스 차질과 코로나19의 지리적, 사회적, 경제적 파장은 회사의 사업 수행 능력 및 필요시 자금 조달 가능성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5.2. 회사 개요

인스파이어MD(InspireMD Inc.)는 2005년에 설립되어 이스라엘 텔아비브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2024년에는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 새로운 글로벌 본사를 설립한 상업화 단계의 의료기기 회사입니다. 현재 86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마빈 슬로스먼(Marvin Slosman) CEO가 회사를 이끌고 있습니다. 인스파이어MD는 나스닥에서 'NSPR'이라는 티커 심볼로 거래되며, 뇌졸중 예방 및 신경혈관 보호를 위한 색전(혈관 막힘 유발 물질) 방지 시스템이 통합된 혁신적인 스텐트 설계 개발 및 상용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5.3. 주요 사업

인스파이어MD의 핵심 사업은 독자적인 마이크로넷(MicroNet) 기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는 20마이크론(µm) 굵기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메쉬(그물망) 플랫폼으로, 혈관벽에 쌓인 플라크(죽상경화반)를 안정적으로 잡아두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회사의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동맥 적용을 위한 CGuard 색전 방지 시스템(EPS)
  • 메쉬로 덮인 자가확장형 경동맥 스텐트인 CGuard 프라임 스텐트 시스템
  • 경경동맥(목을 통해 접근) 시술 시 혈관 접근 및 신경 보호를 위한 SwitchGuard 신경보호 시스템

회사는 기존 경동맥 스텐트 시술 및 수술의 주요 단점을 개선하여 경동맥 질환 치료뇌졸중 예방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인스파이어MD는 뛰어난 급성기 치료 결과와 함께 장기적으로 뇌졸중 없는 안정적인 예후를 제공함으로써, 자사 제품이 지속적인 색전 방지를 위한 업계 표준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5.4. 재무 정보

구분 (백만 달러) 2021 2022 2023 2024
매출액 4.50 5.17 6.00 7.01
영업이익 –14.72 –18.71 –21.00 –34.00
당기순이익 –14.92 –18.49 –19.92 –32.01

인스파이어MD는 최근 분기별로 엇갈린 재무 성과를 보고했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

  • 매출: 153만 달러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
  • 순손실: 1,117만 달러 (주당 0.22달러)
  • 현금 보유액: 2025년 3월 31일 기준 2,609만 달러
  • 시가총액: 약 6,924만 달러

회사는 유동비율 5.28배로 강력한 단기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어, 단기적인 재무 안정성은 견고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그러나 미국 시장 진출 준비와 임상시험에 대한 대규모 투자로 인해 지속적으로 손실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5.5. 시장 지위

인스파이어MD는 미국에서 약 10억 달러 미만으로 추정되는 경동맥 혈관재개통 시장에서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을 제외한 40개 국제 시장에 진출해 있으며, 2021년에는 CGuard EPS 매출이 전년 대비 55.9% 증가하는 등 상당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회사의 경쟁 우위는 독특한 마이크로넷 메쉬 기술에 있습니다. 이 기술은 이론적으로 기존의 개방형 셀 스텐트보다 플라크를 더 효과적으로 봉쇄하여, 경동맥 중재 시술의 주요 우려 사항인 색전 합병증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5.6. 주요 파트너 및 고객

인스파이어MD는 여러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습니다.

  • NAMSA: CGUARDIANS II 중추적 임상시험 진행을 위한 파트너십
  • 솔빛메디칼(Solvit Medical Inc.): 한국 시장 독점 유통 계약
  • 제이콥스 연구소(Jacobs Institute): 초기 타당성 조사 연구 실행을 위한 전략적 협약
  • 주요 기관 투자자: 마샬 웨이스(Marshall Wace), 오비메드(OrbiMed), 로잘린드(Rosalind), 난타할라(Nantahala), 솔레우스(Soleus), 벨란(Velan) 등

회사는 유럽, 라틴 아메리카, 중동,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유통업체 네트워크를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프랑스와 같은 주요 유럽 시장에서는 직접 판매 조직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5.7. 관련 프로젝트 및 기술

인스파이어MD는 몇 가지 주요 계획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임상시험:

  • CGUARDIANS II 중추적 연구: TCAR(경경동맥 혈관재개통술) 시술에 사용되는 CGuard 프라임 평가
  • C-GUARDIANS IDE 연구: CGuard 프라임의 미국 FDA 승인 지원

제품 개발:

  • CGuard 프라임 80cm 시스템: TCAR 시술에 최적화
  • SwitchGuard NPS: 차세대 TCAR 신경보호 시스템
  • 급성 뇌졸중 적용: 다중 혈관 병변 치료를 위한 CGuard 프라임 개발

규제 관련 주요 사항:

  • CGuard 프라임에 대한 FDA 시판 전 허가(PMA) 신청서 제출 완료
  • CGUARDIANS II 연구에 대한 임상시험용 의료기기 적용면제(IDE) 승인 획득
  • 일본 및 대만에서의 규제 승인 추진 중

5.8. 미래 전망

인스파이어MD는 몇 가지 중요한 성장 동력을 바탕으로 상당한 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됩니다.

단기적 주요 일정:

  • CGuard 프라임 경동맥 스텐트 시스템에 대한 2025년 3분기 FDA 승인 예상
  • 2025년 상반기 미국 시장 출시 기대
  • CGUARDIANS II 연구 결과를 통한 TCAR 시장 확대

전략적 이점:

  • 미국 메디케어 및 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CMS)의 보험 적용 범위가 표준 위험군 환자까지 확대되어 시장 잠재력 증대
  • 미국 시장 출시 전략 지원을 위한 1억 1,360만 달러 자금 확보
  • 미국에서 연간 3만 건 이상 시술되는 성장하는 TCAR 시장

장기적 비전: 회사는 경동맥 혈관재개통술 분야에서 혈관 내 치료 우선 시술로의 전환을 예상하며, CAS(경동맥 스텐트 삽입술)와 TCAR 시술 모두를 지원함으로써 가장 넓은 범위의 환자들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혁신적인 마이크로넷 기술과 포괄적인 제품 파이프라인을 통해 인스파이어MD는 뇌졸중 예방 및 경동맥 질환 관리 분야의 업계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다가오는 FDA 결정은 인스파이어MD에게 매우 중요한 순간입니다. 미국 시장 진출은 현재 유럽 및 기타 국제 시장을 넘어 회사가 공략할 수 있는 시장을 극적으로 확장시켜, 회사의 성장 경로와 시장 내 위상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의 내용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단지 참고 자료로 제공됩니다. 언급된 주식이나 금융 상품은 높은 위험을 동반할 수 있으니,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은 신중하게 본인의 책임 하에 내려주시기 바랍니다.

성공적인 투자를 기원합니다.